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02

개헌 절차와 관련 규정 우리나라 최고 법률인 헌법을 변경하는 것을 개헌이라고 합니다. 개헌의 규정과 절차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개헌을 규정하는 법률헌법 제128조~130조에 개헌 관련한 규정하고 있습니다. 헌법 제128조(개정의 제안)① 헌법개정은 대통령 또는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로 제안된다.② 대통령은 헌법개정안이 제안된 때에는 이를 20일 이상 공고하여야 한다. 헌법 제129조(국회의 의결)헌법개정안은 공고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국회가 의결하여야 하며, 이 경우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 헌법 제130조(국민투표와 공포)① 제129조의 규정에 의하여 국회의 의결을 받은 헌법개정안은 30일 이내에 국민투표에 붙인다.② 국민투표에서 유효투표수 과반수의 찬성을 얻은 때에 헌법개정은 확정된.. 2025. 4. 23.
층간소음 해결방법에도 순서가 있어요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층간소음은 흔히 발생하는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층간소음은 이웃 간 주요 갈등 원인 중 하나인데 해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이웃과 원만한 대화위층의 소음으로 시끄러울 때는 대화로 먼저 풀어야 합니다. 이때 어떻게 대화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우선 직접대면보다 쪽지나 메모를 통해 전달하면 좋은데 메모의 문구를 중립적인 문구로 시작하면 습니다. "혹시 소음이 나는지 모르고 생활하셨을까 봐 조심스럽게 말씀드립니다."적대검 없는 톤 유지하면서 감정을 담지 않고 같이 잘 지내고 싶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면 효과적입니다.공동체 문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관리소나 입주자대표회의에서 만든 공지문 등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관리사무소 중재 요청관리소에서.. 2025. 4. 22.
폐하, 전하, 저하, 각하의 호칭과 뜻 일상에서 많이 쓰이진 않지만 사극이나 드라마에서 가끔 들어볼 수 있는 표현들 중 폐하, 전하, 각하 등의 호칭이 있는데 어떤 경우 사용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폐하폐하는 황제에게 사용하는 최고의 존칭입니다.폐하의 어원은 궁궐의 섬돌 아래 라는 뜻으로, 신하가 군주를 올려다보며 말하던 자리에서 비롯되었습니다.영어로는 ' the emperor '이라고 하며, ' the emperor'을 부를때 사용하는 존칭입니다.사용예 : "폐하께 아뢰옵니다.", "폐하의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폐하는 중국황제에게 쓰던 표현이고, 전하는 조선의 왕에게 쓰던 표현인데 조선시대의 고종황제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부르면서 황제자리에 올랐고 이때부터 전하에서 폐하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전하전하는 왕에게 사용되는 존칭입니다.전하.. 2025. 4. 16.
부장, 팀장, 본부장의 차이 회사 조직에서 자주 접하는 직책 중 ‘부장’, ‘팀장’, ‘본부장’은 비슷해 보이지만, 그 의미와 역할은 확연히 다릅니다. 직급과 직책이 혼용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아 헷갈릴 수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부장, 팀장, 본부장의 차이점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용어 구분 : 직급과 직책직급 : 조직 내 위계질서를 나타내는 단계 (예 : 대리, 과장, 부장 등)직책 : 특정 업무 단위나 조직을 책임지는 역할 (예 : 팀장, 본부장, 실정 등)즉, 부장은 직급이고, 팀장과 본부장은 직책입니다. 예를 들어 '마케팅팀 부장'은 직급이 부장이며, 직책이 팀장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2. 부장일반적으로 중간 관리자에서 고위 관리자 사이에 위치하는 직급부서의 총괄 책임자로 활동하며, 과장, 대리 .. 2025.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