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골

알바, 계약직, 정규직의 차이와 특징

by 함성 2025. 4. 28.
반응형

고용형태에 관한 단어들이지만 근로조건과 법적 권리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는데 알바, 계약직, 정규직의 차이와 특징을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알바(아르바이트)

  • 개념 : 단기적, 임시 근로형태
  • 근로계약서 작성 의무 있음 (기간, 임금, 근로시간 명시)
  • 근로시간 : 주로 파트타임(시간제 근로), 풀타임도 가능
  • 임금 : 시급 또는 일급으로 지급하는 경우가 많음
  • 4대 보험 : 일정 조건(주 15시간 이상, 1개월 초과 근무 등) 충족 시 가입 가능
  • 퇴직금 : 1년 이상 근속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 발생

특징

  1. 단기 일자리
  2. 유연한 근로시간
  3. 학생, 취업 준비생, 부업을 원하는 사람들이 주로 선택

 

계약직

  • 개념 : 특정 기간 동안 근로계약을 맺는 형태(기간제 근로자)
  • 근로계약서 작성 필수(근로 기간, 근무 조건 등 명시)
  • 근로시간 : 정규직과 동일한 근로시간을 적용받는 경우가 많음
  • 임금 : 월급제, 연봉제 등 다양한 방식 가능
  • 4대 보험 : 원칙적으로 모두 가입
  • 퇴직금 : 1년 이상 근무 시 지급

특징

  1. 계약기간이 명확히 정해져 있음 (예 : 6개월, 1년)
  2. 계약 종료 시 별도 해고절차 없이 계약 만료로 퇴사
  3. 정규직 전환 기회를 제공하는 회사도 있음

 

정규직

  • 개념 : 별도의 계약 기간 제한 없이 근무하는 형태 (무기계약 근로자)
  • 근로계약서 작성 필수
  • 근로시간 : 주 40시간 기준 (법정 근로시간 적용)
  • 임금 : 연봉제, 월급제
  • 4대보험 : 모두 가입
  • 퇴직금 : 1년 이상 근속 시 지급

특징

  1. 고용 안정성 높음
  2. 해고 시 정당한 사유 및 절차 요구(부당해고 금지)
  3. 승진, 연봉 이상, 복지 혜택 등이 계약직이나 발바보다 좋은 편

 

비교표

구분 알바 계약직 정규직
근로형태 단기, 임시 일정 기간 계약 기간 정한 없음
근로시간 탄력적 (주로 단시간) 주 40시간 기준 주 40시간 기준
임금 시급, 일급 월급, 연봉 월급, 연봉
4대 보험 조건부 가입 의무가입 의무가입
퇴직금 조건 충족 시 지급 1년 이상 근무 시 지급 1년 이상 근무시 지급
고용안정성 낮음 중간(계약기간 한정) 높음

 

 

참고사항

  • 알바라도 근로계약서 작성은 반드시 해야 하며,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 계약직은 무기한 연장이 어려우며 2년을 초과하면 정규직 전환 의무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정규직이라도 인사평가나 구조조정에 따라 계약해지가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2023.07.06 - [잡골] - 연봉제와 월급제의 차이와 기준

 

연봉제와 월급제의 차이와 기준

회사 생활을 할 때 매달 급여를 받는데 내가 연봉제로 받고 있는 것인지 월급제로 받고 있는지 궁금해하실 텐데 그 기준과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봉제 연봉제란 근로자가 1년 동안

law-nam33c.tistory.com

 

 

2025.03.18 - [잡골] - 퇴직금 계산법과 지급 기준(관련 법규정)

 

퇴직금 계산법과 지급 기준(관련 법규정)

퇴직금은 근로자가 일정 기간 이사 근속한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금액을 말하는데 이는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위한 제도로서,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지급해야 합니다. 1. 퇴

law-nam33c.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