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했을 때 직장으로부터 받는 연봉이 정해지는데 그 연봉은 세금을 납부하기 전인 세전 금액입니다. 그래서 세금을 납부한 후 실질적으로 수령하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았습니다.
1. 실수령액 계산 방법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등을 공제한 후 남는 금액이 실수령액입니다.
기본공제 항목
- 국민연금 : 약 4.5%
- 건강보험 : 약 3.54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약 12.81%
- 고용보험 : 약 0.9%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누진세율 적용
2.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연봉 4,000만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330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15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2만 원
- 고용보험 : 약 3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4~5만 원
실수령액 : 약 299~301만 원
연봉 5,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416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18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5만 원
- 고용보험 : 약 4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9~10만 원
실수령액 : 약 379~381만 원
연봉 6,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500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20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8만 원
- 고용보험 : 약 5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15~15만 원
실수령액 : 443~445만 원
연봉 연봉 7,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583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22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20만 원
- 고용보험 : 약 5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20~22만 원
실수령액 : 약 511~513만 원
참고사항
- 가족 부양 공제, 연말정산 환급 여부, 지역 건강보험료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식대, 차량 유지비 등 비과세 수당이 있는 경우 실수령액이 조금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 초과근로수당이 별도로 지급되는 경우에도 실수령액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2025.03.21 - [분류 전체 보기] - 직장에서 보고서 작성법(보고서 잘 쓰는 법 총정리)
직장에서 보고서 작성법(보고서 잘 쓰는 법 총정리)
회사 생활에서 필수업무 중 하나가 보고서 작성입니다. 상사에게 정확하게 내용을 전달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간결한 보고서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실무에 바로 적용할
law-nam33c.tistory.com
2025.03.26 - [잡골] - 이사, 상무, 전무의 차이와 특징
이사, 상무, 전무의 차이와 특징
우리가 회사 내에서 많이 듣는 직함 중 하나가 이사, 상무, 전무 등 임원입니다. 모두 임원이긴 하지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원의 직위를 부르는 호칭흔히 부르는 직함인 이
law-nam33c.tistory.com
'잡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바, 계약직, 정규직의 차이와 특징 (1) | 2025.04.28 |
---|---|
층간소음 해결방법에도 순서가 있어요 (0) | 2025.04.22 |
폐하, 전하, 저하, 각하의 호칭과 뜻 (0) | 2025.04.16 |
부장, 팀장, 본부장의 차이 (1) | 2025.04.14 |
전국 지역별 봄 데이트코스 추천 (1)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