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골

연봉 4천만원, 5천만원, 6천만원, 7천만원 실수령액 계산

by 함성 2025. 4. 28.
반응형

취업을 했을 때 직장으로부터 받는 연봉이 정해지는데 그 연봉은 세금을 납부하기 전인 세전 금액입니다. 그래서 세금을 납부한 후 실질적으로 수령하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았습니다.

 

1. 실수령액 계산 방법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등을 공제한 후 남는 금액이 실수령액입니다.

기본공제 항목

  • 국민연금 : 약 4.5%
  • 건강보험 : 약 3.54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약 12.81%
  • 고용보험 : 약 0.9%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누진세율 적용

 

2.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연봉 4,000만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330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15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2만 원
  • 고용보험 : 약 3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4~5만 원

실수령액  : 약 299~301만 원

 

연봉 5,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416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18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5만 원
  • 고용보험 : 약 4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9~10만 원

실수령액  : 약 379~381만 원

 

연봉 6,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500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20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18만 원
  • 고용보험 : 약 5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15~15만 원

실수령액  : 443~445만 원

 

연봉 연봉 7,000만 원 기준

예상 월급여 : 약 583만 원

공제항목

  • 국민연금 : 약 22만 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약 20만 원
  • 고용보험 : 약 5만 원
  • 소득세 + 지방세 : 약 20~22만 원

실수령액  : 약 511~513만 원

 

 

참고사항

  • 가족 부양 공제, 연말정산 환급 여부, 지역 건강보험료 적용 여부에 따라 실제 수령액은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식대, 차량 유지비 등 비과세 수당이 있는 경우 실수령액이 조금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 초과근로수당이 별도로 지급되는 경우에도 실수령액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2025.03.21 - [분류 전체 보기] - 직장에서 보고서 작성법(보고서 잘 쓰는 법 총정리)

 

직장에서 보고서 작성법(보고서 잘 쓰는 법 총정리)

회사 생활에서 필수업무 중 하나가 보고서 작성입니다. 상사에게 정확하게 내용을 전달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간결한 보고서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실무에 바로 적용할

law-nam33c.tistory.com

 

 

2025.03.26 - [잡골] - 이사, 상무, 전무의 차이와 특징

 

이사, 상무, 전무의 차이와 특징

우리가 회사 내에서 많이 듣는 직함 중 하나가 이사, 상무, 전무 등 임원입니다. 모두 임원이긴 하지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임원의 직위를 부르는 호칭흔히 부르는 직함인 이

law-nam33c.tistory.com

 

반응형

댓글